쓰레기를 행정적인 의미로 '폐기물'이라 한다. 폐기물은 "일상생활과 산업활동의 결과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뇨, 폐유, 폐합성수지, 폐고무 등 쓸모없거나 경제적 가치가 낮은 물질 또는 쓰레기, 연탄재, 오니, 폐유, 폐산, 폐알칼리, 동물의 사체 등으로서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 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하게 된 물질"이라고 관리법 법률 제4363호에는 규정하고 있다.

-쓰레기는 폐기물을 의미해

폐기물은 유해성과 성상에 따라 일반폐기물과 특정폐기물로 분류된다. 일반폐기물에는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분뇨와 생활 쓰레기, 그리고 산업체에서 배출되는 특정폐기물을 제외한 폐기물이 여기에 포함된다.

우리나라에서 일반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하기 시작한 시기는 1960년대 후반 이후이며, 생활 양식이 서구화되면서 발생량의 증가와 더불어 폐기물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특정폐기물은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중에서 환경이나 국민 보건에 커다란 해악을 끼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일반폐기물이나 특정폐기물은 관리 소홀은 지하수는 물론 토양에 심각한 2차적인 오염의 원인이 되기에 늘 도마에 오르고 있다.

-런던협약으로 2010년부터는 해양투기 전면금지

특히 음식물쓰레기는 분리수거를 통해 그 동안 사료와 퇴비, 연료 등 자원화와 매립, 해양투기 등이 보편화되었다. 음식물류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2005년부터 실시되면서 2007년 현재 음식물쓰레기 폐수의 67%정도가 해양투기로 처리 해양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1972년 만들어진 런던협약에 따라 핵폐기물해양투기전면규제를 시작으로 1996년부터 해양오염의 주범인 폐기물투기를 포괄적으로 규제, 강화하여 2007년 7월 1일부터 우리나라에도 적용되었고 2010년부터는 전면금지 된다.

이로 인해 광역단체는 물론 지자체에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놓고 큰 고민에 빠져있다. 그리고 나름대로 해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의 매립이나 해양투기에서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구리시도 그 고민에 빠졌다.

-음식물과 생활쓰레기 혼소(混燒)는 반드시 해야

찾은 해법이 바로 생활폐기물와 음식물쓰레기를 함께 태우는 혼소(混燒) 방법이 대안이라고 관계자들은 말한다.

이유는 2000년 전후로 세워진 소각로들은 통상 1,400~1,600kcal/kg의 수준으로 소각로의 출구 온도는 850°C 이었으나 최근엔 2,500kcal/kg를 넘어섰고, 일부는 3,000kcal/kg로 소각로 출구온도가 950°C를 초과하므로 인위적으로 소각쓰레기에 물을 뿌리는 등 고발열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고발열량의 문제는 우리나라에 건설된 소각시설의 대부분이 스토커방식을 따르고 있는데, 애초 음식물과 함께 태우도록 설계되고 시설되었다. 철저한 분리수거로 인해 젖은 쓰레기의 반입은 물론 일반쓰레기의 양이 줄고 발열량이 높은 쓰레기를 소각하므로 부득이 음식물과 생활쓰레기를 함께 태우는 혼소방식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 지배적이다.

-해법을 찾아 나선 구리시

구리시도 그 해법을 찾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을 하고 있다. 구리시와 같은 스토커방식의 쓰레기소각장을 관계자, 시의원. 시민대표 등 24명이 지난 달 말. 과천, 수원, 울산 세 곳을 돌아보았다. 과천시는 음식물을 우선 반건조 후에 혼합하여 태우는 방식을, 수원은 건설과 동시에 혼소방식을 최근에는 농수산물시장에서 반입되는 잔재도 함께 태우고 있으며, 울산은 아예 산업폐기물도 함께 태우고 있었다.

세 곳 관계자들의 공통된 답은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음식물과 일반쓰레기를 3:7 정도 섞어서 태우면 오히려 소각로 안의 적정온도를 유지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다이옥신은 850°C를 유지하면 기준치 이하로 발생되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무슨 소리 120가지 정도의 유해물질 발생 가능

하지만 시민단체의 입장은 다르다. 소각장주민대책위원회 홍흥표 위원장은 "지금까지의 소각방식은 환경부 측정 배출가스와 미세먼지 등 6가지 정도 유해물질을 관리하나 음식물을 함께 태울 경우 120여 가지나 되는 유해물질에 대한 우려가 있다는 것은 학술 논문으로도 발표된 바 있다. 이런 사실을 밝히지 않고 주민들을 설득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 과천처럼 건조 또는 반건조 소각 방식이 아니면 물리적인 방법을 동원해서 끝까지 저지하겠다. 환경오염의 폐해는 지금이 아닌 다음세대 혹은 더 먼 세대에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히 판단해야 할 것."이라며 입장을 밝혔고, 구리시 관계자는 다른 지역의 좋은 사례를 더 찾아보고 가장 합리적인 방법을 강구하여 시민들의 걱정을 최소화 시키겠다.

음식물쓰레기 이제는 강 건너 불구경 하듯 바라볼 수 만은 없다. 이미 매립과 해양투기를 할 수없는 상황에서 해법을 찾아 나선 구리시의 발 빠른 행보에 기대를 해보며, 시민단체 역시 구리시의 관계자와 머리를 맞대고 가장 안전하고 가장 신뢰를 받을 수 있는 소각장이 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관련사진###

반입된 음식물폐기물을 반건조 한 후 소각로로 옮기는 과천 소각장.
음식물과 농수산물시장 폐기물을 섞는 모습을 바라보는 구리시관계자. 수원소각장.
음식물쓰레기 수거차가 소각로에 반입하고 있는 울산소각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남양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