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는 영악함과 부지럼함...다산을 상징

한해를 보내며 가장 많이 듣는 소리가 다사다난(多事多難)이다. 이는 여러 가지 일도 많고 어려움이나 탈도 많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던지는 말로 긍정적 말보다는 부정적인 설상가상(雪上加霜)의 의미를 더 두기 때문이다.

열 두 띠 중 가장 앞서는 쥐는 함경도 창세가에 현자로 나와 
매년 성탄절을 전후해 교수신문에서는 주요 인사를 통해 매년 올해의 사자성어를 발표한다. 그야말로 다사다난했던 일들과 그 이유를 들어 멋지고 희망찬 성어보다는 지나간 300여일 중 가장 문제가 되었던 공통적인 사건사고를 대상으로 정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성어를 발표할 수밖에 없지 않을까.

교수신문이 발표하는 올해의 사자성어가 국민들의 관심을 받기시작 한 것은 인터넷이 일반화 된 2000년 이후가 아닌가 싶다. 최근 발표한 사자성어를 살펴보면 교육정책의 불안함에 오리무중(五里霧中)을 2001년에, 2002년은 대선을 앞두고 철새정치인이 많아지자 이합집산(離合集散), 2003년에는 참여정부의 정책적 혼선으로 우왕좌왕(右往左往)이 선정되기도 했다.

2004년에 발표한 당동벌이(黨同伐異)이는 세간의 관심을 가장 많이 받은 성어이다. 당동벌이는 “같은 편끼리 한패가 되고, 다른 파는 배척한다.”는 철저한 정파정치의 부정적인 모습을 잘 나타냈기에 애주가의 큰 안줏거리가 되었다. 2005년에는 각 분야가 물과 기름처럼 서로 대립과 분열을 일삼아 “위에는 불 아래에는 물”이란 상화하택(上火下澤)이라고 일갈했다.

작년 이맘때 밀운불우(密雲不雨) “구름은 가득하나 비는 오지 않는다.”라는 사자성어에 고개를 끄덕였다. 그 이유는 남북의 분열, 동서의 갈등 속에 터질 듯 답답함과 불만을 가슴에 안은 채 정해년(丁亥年) 새해를 맞이했다. 우리는 몇 백 년 만에 찾아온 복돼지 해라며 많은 의미를 만들고 희망이란 그림을 그렸다.

하지만 올해의 사자성어가 “자신도 속이고 남도 속이는” 집단적 도덕적 불감증을 나타낸 ‘자기기인(自欺欺人)’이기에 속임과 거짓에 대한 생각을 하게 한다. 사람이 한번 남을 속이면 속임을 유지하기 위해 평생 안고 간다는 평범한 진리를 깨닫게 한 아주 귀중한 성어이기도 하다. 자기기인을 정한 이유가 사회 인사 층의 거짓과 속임에 세뇌를 받아 당연시 여기는 현실이 되었기에 내 자신 또한 그 속임의 부류에 속하지 않았는가 작은 성찰을 해본다.

이제 2007년도 제야의 종소리만 남기고 그 종소리의 여운과 함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2008년을 맞이한다.

내년은 쥐의 해 무자년(戊子年)이다. 쥐는 우리생활 같은 영역에서 존재하기 때문에, 한국인의 의식에는 쥐는 많은 의미를 지닌 동물이다. 12간지로서의 쥐의 의미는 자식이라는 뜻의 자(子)로 표시되어 첫번째 자리에 두었으며, 무한히 늘어나는 왕성한 번식력을 높이 사서 다산(多産)을 상징한다.

우리가 어렸을 때, 하늘의 신이 지상의 동물들에게 달리기 시합을 시켜 12명을 선발하여 인간의 신으로 만든다는 이야길 듣고 소의 머리에 있던 쥐가 폴짝 내려와 1등을 하고 사실 12등을 한 고양이가 등위 안에 들지 못해 서로 원수가 되었다는 동화를 생각해 본다. 쥐는 얄미울 정도로 머리가 좋고, 훔치는 동물이란 불명예를 갖고 있지만 반면에 부지런히 먹이를 모으는 근면성이 높이 평가되어 부와 재물의 상징이기도 하다.

함경도 무가(巫歌)인 창세가(創世歌)에서 쥐는 현자를 위미한다. 세상을 열리자 미륵(彌勒)이 태어나 해와 달 그리고 별을 정돈하였으나 물과 불의 근원을 몰랐다. 생쥐에게 물과 불의 근원을 물었을 때 이를 가르쳐 준 대가로 이 세상의 뒤주를 차지하게 되었다.

▲ 한철수(편집위원)


쥐의 긍정적인 습성을 이어받아 무엇이든 성취하는 한 해가 되시기를 바라며, 독자여러분 새해에 복 많이 받고 나눠 주시기를 기원합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남양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