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자치신문)해방이후 60여년간 죽의의 섬으로만 여겨졌던 가평 자라섬이 이제는 낡은 옷을 벗어 버리고 새 옷을 갈아입기 시작했다.
면적이 약 20여만평에 달하는 자라섬은 해방이후 중국인들이 농사를 짓고 살았다하여 1943년부터 중국섬으로 불리어 오다가 1986년부터 자라섬이라는 새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주변에 흐르는 북한강의 맑은 물과 수려한 산림이 어우러진 자라섬은 크게 3면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서도, 중도, 남도와 작은 조각섬인 동1도, 동2도로 나누어져 물위에 모습을 들어내고 있다.

특히 오래전에는 남도와 동2도 섬과 연계된 모래사장이 거의 환상적이었으나 군 재정을 위한 모래채취로 인해 생태계파괴는 물론 매년 우기시 물에 잠김으로서 자라섬이란 인식을 갖는 이는 없었다.

그러나 가평군이 발상을 전환하여 물모지에 있던 자라섬을 지난 2004년부터 본격적으로 가꾸기 시작하면서 각종 규제로 얼어붙은 지역경제에 활로를 찾아가고 있다.

군은 올해로 4회째를 맞이하고 있는 자라섬 국제재즈페스티벌을 통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가 하면 2008년 세계캠핑캐라바닝 가평대회 유치를 계기로 220억원의 국.도비를 끌어들여 자라섬 기반시설을 현재 완성해 나가고 있다.

또한 경기도에서 추진중인 소도읍개발지원금으로 204억여원이 투입돼 자라섬 환경생태공원을 조성해 나감으로서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환상의 섬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군은 기존의 남이섬과 자라섬 그리고 서울-춘천간 경춘복선전철 완공에 따른 가평 신역사 주변을 연계한 사계절 축제와 문화를 접목시킨 북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구상.계획하고 있어 지역발전과 주민 소득을 높여나가게 된다.

한편 군 관계자는 “현대사회의 기상장비 선진화로 미리 강수량과 댐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어 자라섬이 물에 잠기는 사례는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제는 생각을 바꾸면 자라섬 개발이 불가능은 아니라고” 말했다.

無에서 有를 창조하듯 이제 가평군의 미래를 위해 군민들도 생각을 바꿔야 할 것이다. 지역 발전 및 군민 소득 증대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가평군의 노력에 박수를 보내며 지난 60여년간 삭막했던 자라섬이 머지않아 가평의 보물섬으로 돌아오기를 기대해 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남양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