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현정(의정부보훈지청 보훈팀장)
생로병사(生老病死)를 인간이 가지는 고통, 즉 자연의 섭리라 하면 희생(犧牲)은 자연의 섭리를 벗어난 인간의 행위 중 가장 숭고한 것으로 말할 수 있다.

다른 사람이나 어떤 목적을 위해 자신의 목숨, 재산, 명예, 이익을 바치거나 버리고 빼앗기는 것이 희생인데 말은 쉽게 되지만 그 뜻을 실천하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그래서 희생을 숭고하다고 하는 것이고 그 실천이 어렵기 때문에 희생을 당하신 분들을 존경하고 예우해야하는 것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당연한 몫인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현실은 그러하지 못하다.

각종 행사에서 국민의례 중에 하나인 ‘순국선열 및 전몰호국영령에 대한 묵념’이라는 것이 있다. 늘 상 해오던 것이기에 아무 뜻 없이 따라만 하다 보니 그 뜻에 대해 궁금해 하지도 않고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 그
러면서 안전을 논하고 자유와 행복, 복지가 지속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고 끝도 알 수 없는 복지 논쟁에 온 나라가 들썩이고 있다.

복지를 논하려면 제일 먼저 가장 근본이 되는 국가 안위를 최우선으로 생각하여야 한다.

과거 국가 위기 시에 희생을 당하신 분들에 대해 일반적인 복지수혜에 앞서서 대승적 차원의 진심어린 보상과 존경의 풍토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래야 또 다른 국가 위기 시에 조금이라도 나라를 위하려는 마음이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언제 국가 위기를 당했었는지조차 관심이 없는 형상처럼 보인다.

세계유일의 분단국가일 뿐 아니라 한반도의 지리적 여건상 통일이후에도 중국, 러시아, 일본 등 열강들의 틈새에서 많은 시련과 국난을 극복해 온 역사적 사실을 우리 자손(후손)들에게 알려야 한다.

역사는 반복된다는 진리를 믿고 싶지 않지만 대비는 해야 한다.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직시하고 미래를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순국선열과 전몰호국영령은 다 같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신 분들을 말한다. 다만 일제강점기에 조국 독립을 위해 싸우다 1945년 광복이전에 돌아가신 분들은 순국선열로 명명하고 6.25전쟁 시 등 각종 전투에서 희생당하신 분들을 전몰호국영령으로 부르는 것이다.

‘순국선열의 날’은 일본 제국주의로부터 국권회복을 위해 헌신한 순국선열의 독립정신과 희생정신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 선열의 얼과 위훈을 기리기 위해 제정한 법정기념일이다.

한국 독립운동의 구심체였던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임시총회에서 지청천(池靑天)·차이석(車利錫) 등 6인의 제안에 따라 망국일인 11월 17일을 순국선열공동기념일로 제정한 이래 임시정부 주관으로 행사를 거행해 오다 1946년부터는 민간단체에서, 1962년부터 1969년까지는 국가보훈처에서, 1970년부터 1996년까지는 다시 민간단체 주관으로 현충일 추념식에 포함 거행하였다.

그러다 독립유공자 유족들의 오랜 여망과 숙원에 따라 1997년 5월 9일 정부기념일로 복원되어 그해 11월 17일부터 정부 주관 행사로 거행해 오고 있는 것이다.

벌써 금년이 75회째다. 그럼에도 여전히 국민들에게 소외되고 있다는 느낌에 안타까움을 느낀다. 마치 어르신들과 일부 관계되는 이들의 역사로 치부하려는 것은 더욱 위험스럽다.

일제로부터 조국독립을 위해 투쟁하신 분들의 희생이 없었더라면 지금의 우리도 없었다는 것을 명심하자!

그리고 순국선열의 뜻을 깊이 되새기면서 그 후손들을 존경하고 예우하는 풍토를 조성함으로써 또 다른 애국심들이 언제든지 솟구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우리의 자유와 평화, 복지가 후손들에게 이어질 수 있다.

금년 순국선열의 날이 새로운 전환점이 되기를 바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남양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