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연(시인/수필가)
한글은 세계 문자 가운데 가장 적은 숫자로 가장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는 우수한 문자이다.

24개 부호의 조합으로 사람의 목청에서 나오는 대부분의 소리를 표현할 수 있다.

한글은 가장 과학적이고 배우기 쉬운 문자로 세계가 인정하고 있으며, 한글 총수는 1만2768자로 제일 많은 음을 가진 글자이다.

유네스코가 문맹퇴치에 공헌한 사람에게 주는 상이 바로 󰡐세종대왕상󰡑이며, 한글은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됐고, 우리의 국력이 커 가면서 세계 64개국 742개 대학에서 가르치고, 국제특허협력조약에선 10대 국제 공용어로 채택한 국제적인 문자가 됐다.

현재 제2외국어로 채택한 나라가 7개국이며 실제로 한글을 사용하고 있는 인구도 남북한을 합한 7천500만 명에서 날로 늘어나 세계 12위권에 들어가고 있다.

세종대왕께서 훈민정음을 반포하실 때는 지식층에 있는 사람들에겐 한자가 유일하다시피 한 표현 수단이자 지적 과시 수단이었다.

한자는 진서라 하여 양반글이고 한글은 언문이라 하여 천한 글로 폄하했다. 아녀자들의 글로 격하시킨 것이다. 부끄러운 역사이다.

배우기 쉽고 쓰기 간편하고 표현하기 편리하면 좋은 글이다. 바로 한글의 최대 장점이 배우기 쉽다는 데 있다. 해방 당시 80~90%이던 문맹을 단기간에 퇴치할 수 있었던 것은 한글의 덕택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정보사회에 적합한 문자로, 컴퓨터와 절묘한 조화를 이루며 정보사회를 이끌어가는 힘이 되고 있다. 휴대폰 등의 모바일 기술이 전 세계에서 가장 앞선 나라가 된 이면엔 한글의 과학성이 자리 잡고 있다. 이렇게 한글이 주는 힘은 무궁무진하다.

박정희 정부의 강력한 한글 전용정책은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했다. 관공서의 공문도 한글로 규격화하고 길거리의 외래어 간판은 철거하고 순 한글로 바꾸게 했다.

교과서가 한글로 바뀌고 서점에 한글 전문서적이 쏟아져 나왔다. 그래서 미국의 새로운 문물을 급속도로 수입하고 모방하는 데 활력소가 됐다.

그 모방이 쌓이고 쌓여서 창조적 모방이 나오고 발명품이 나오는 오늘의 대한민국이 된 것이다. 한글이라는 훌륭한 문자가 없었다면 어려웠을 것이다.

머지않은 장래에 국력의 성장과 함께 중국어, 일본어를 앞질러 세계 제2의 공통어로 인정받고 세계 속의 한글로 우뚝 솟을 것이다.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 부론섬 바우바우시가 지역 토착어인 찌아찌아어를 표기할 공식문자로 한글을 도입했다.

우리의 국력은 세계에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만큼 빠르게 성장하여 한때는 외국에서 한국을 󰡐승천하는 아시아의 용󰡑이라고 했다. 그 원동력의 하나가 바로 한글이다.

지금 우리는 한글의 우수성을 아는지 모르는지 궁금하다.

한글 사용에 모범을 보여야 할 정부는 동사무소를 동주민센터로, 파출소를 치안센터로, 소방파출소를 119안전센터로, 한국철도공사를 코레일로 이름을 바꿨다.

이외에도 많은 공공기관의 명칭이 외래어로 바뀌었으며 아직까지 공공기관의 명칭이 외래어로 바뀐 사실을 모르는 국민도 많다.

게다가 행정기관에서 공문서나 회의 자료 작성 시 한글 대신 외래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리플릿, 워크숍, 프로젝트, 비전, 인프라, 로드맵, 벤치마킹, 리허설 등 수많은 외래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텔레비전 방송은 뉴스투데이, 드라마스페셜, 출발 모닝와이드, 미디어 비평 등 제목부터 외래어 일색이다.

참으로 부끄러운 현실이다. 공직자와 언론인은 물론이고 많은 사람들의 각성이 요구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남양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