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구(오남고 교사)
지금도 늦은 시간까지 학업에 열중하고 있는 우리 청소년들, 이들은 주변으로부터 어떤 대접을 받고 있을까?

공부하는 기계로 전락하여 낮이나 밤이나 공부, 토요일, 일요일도 없이 공부, 학교에서도 집에서도 공부, 학교, 집의 공부도 부족하여 학원으로, 학원으로 향하고 있다.

농사 중에 자식농사가 제일인 것은 사실이다. 부모된 입장에서 자식이 올곧게 성장하여 사회에서 사람다운 대접을 받으면서 살아갈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해 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다.

하지만 여기에도 격이 있다. 부모의 입장에서 어떤 틀을 만들어 놓고 그 틀에 넣기 위해 아낌없이 투자하는 것은 진정한 사랑이 아니다.

청소년들은 부모님과 대화할 시간이 없다. 설상 대화가 있다고 하더라도 공유할 이야기꺼리가 없다.

왜 그런가?

부모님들이 어렸을 때 경험했던 아름다운 추억이 이들에게 있는가? 오직 공부에 시달린 경험밖에 없다.

 이제 사람을 키워가는 사랑을 베풀어야 한다. 청소년들에게 청소년다운 가치관을 지니도록 절제된 사랑을 가슴으로 느끼도록 해야 한다.

어떤 것이 사람을 키워가는 사랑인가?

자식의 인격을 인정하는 마음가짐이다. 대부분의 부모들이 “물질적으로 최대한 지원을 할 테니 너는 오직 공부만하여 서울 소재 S, K, Y 대학에 진학해야 한다.” 며 자녀를 한쪽으로 몰아가고 있다.

사람은 태어날 때 이미 다양성을 지니기에 획일화 할 수 없다. 또한 성장하면서 접하게 되는 환경적인 요인이 개별적인 능력 발휘의 근간이 된다.

따라서 자식들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하여 진로를 결정하는 그래서 그들의 잠재적 능력을 발휘하면서 즐겁게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것이 사람을 키워가는 사랑인 것이다.

각기 다른 특기 적성들을 가지고 태어났음에도 하나같이 인문계 고등학교를 진학시켜 학과 공부만으로 서열을 매겨 남의 자식과의 비교 속에서 고통스럽게 살아가는 것이 오늘의 우리 청소년들이다.

세계화와 정보화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은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 따라서 그들의 능력도 좀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도 우리 청소년들은 개인이 지닌 잠재적 능력은 무시당한 채 오직 인문계로의 발길을 멈추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자식의 장점을 죽여 단순히 이끌려 가는 시작점이 되는 것이다.

칭찬할 거리가 없어지는 것이다. 이제부터는 장점보다는 단점이 부각된다. 부모 입에서 효자 난다는 말이 있다.

내가 내 자식의 장점을 부각시키고 그 장점에 대해 칭찬해 주지 않는다면 누가 칭찬할 것인가? 자식의 장점에 대해 끝없이 칭찬하라. 그리고 그것을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투자하라. 그러면 그것을 즐기게 될 것이다.

최근에 유행하는 말이 있다. ‘천재는 노력하는 자를 이길 수 없고, 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이길 수 없다. 그리고 피할 수 없으면 그것을 즐겨라.’ 하기 싫은 일을 억지로 시키는 것보다 하고 싶은 일을 하게 되면 그 능률은 배가 된다.

또한 간섭이 필요치 않다. 그럼, 즐기게 하는 방법은 어떤 것일까? 요즘 청소년들은 쉬운 길을 택하려 한다.

즉 도전하여 성취하기보다는 남이 만들어 놓은 길을 따라 가려는 성향이 강하다. 이것은 한정된 공간에서 본 만큼만 느끼기 때문이다.

다양한 경험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생각을 하지 못하고 콘크리트 벽 속에서 교과서와의 싸움에서 얻어진 편협한 생각의 결과인 것이다.

그래서 조그만 일에도 쉽게 화를 내고, 조금 떨어진 성적에 깊은 아픔을 느끼며 좌절한다.

자식을 키우는 일은 사육이 아닌 교육이다. 교육은 가르침을 통해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 가는 것이다. 여기에는 억압적인 폭력과 고압적인 지시가 아닌 사랑이 최고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남양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