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로 손상 증가...음식물 분리수거 등 성상 변화가 원인

경기도내 대형소각시설의 대부분이 설계를 초과한 발열량을 보이고 있어 소각로 손상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제기돼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경기개발연구원은 14일 '도내 대형소각시설의 효율적인 발열량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결과 발표를 통해 이 같이 지적하고, "시급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발표에 따르면 "경기도의 생활폐기물 대형소각시설의 설계발열량은 평균 2,316kcal/kg인데 반해 2005년 기준 실제 평균 발열량은 2,606kcal/kg로 설계발열량을 크게 상회하여 운전하고 있다"는 것.

연구원은 또, "가동률 조정을 위해 열부하율 100%이상으로 소각로를 운영함으로서 소각로 내화물 손상 등 운영상의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이처럼 발열량이 설계기준을 넘어서고 있는 이유로 도내 15개의 소각시설이 설계당시 음식물 폐기물을 40%정도 혼합해 소각하는 것으로 설계되었으나, 재활용 및 분리수거제도가 정착되어 음식쓰레기가 별도로 분리 처리됨으로서 폐기물의 수분함량이 감소해 고발열량 폐기물이 증가하는 등 쓰레기성상 변화가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이로 인해 설계발열량을 기준으로 소각시설을 운영하기에는 곤란한 수준에 도달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또, 연구원은 "이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도내 일부 소각시설에서 음식물 폐기물을 35%이상 혼합 소각하고 있으나 대기오염물질 배출농도를 법적기준치 이내에서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혼합소각과 다이옥신 및 대기오염물질 발생과의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다"고 분석하고, "법적 기준치를 만족하는 조건하에 경기도내 공공대형소각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시·군에 한해 제한적으로 음식물류 폐기물의 혼합소각을 허용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연구원은 또, "고발열량 폐기물을 시설용량대로 소각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변경 및 운영상의 개선이 필요하나, 구조적인 변경은 소각로부터 전체시설의 전면적인 개보수가 이루어져야 하며, 수냉식 화격자의 도입, Revamping 기술 도입 등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 같은 시설 개선에는 국비보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남양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